design pattern
디자인 패턴
선배 개발자의 설계도와 노하우다. 디자인 패턴을 이용하면 프로그래밍적으로 더 좋게 설계할 수 있다.
싱글턴 패턴(Singleton Pattern)
객체를 딱 하나만 만들 수 있게 하는 패턴. 클래스 설계 상, 두 개까지 만드는 걸 막아버린다. 즉, 인스턴스가 필요할 때 똑같은 인스턴스를 만들어내는 것이 아니라 기존에 있던 인스턴스를 사용하게 한다.
싱글톤을 쓰는 이유?
- 고정된 메모리 영역을 얻으면서 한 번의 new로 인스턴스를 사용하기 때문에 메모리 낭비를 방지할 수 있다.
- 두 번째 이용부터는 객체 로딩 시간이 줄어들어 성능이 좋아진다.
- 전역 인스턴스라서 다른 클래스의 인스턴스들이 데이터를 공유하기 쉽다.
싱글톤을 쓰는 이유
- UserService나 뭐나 객체 하나만 접근할 수 있고 list 같은 경우에도 하나에만 접근할 수 있기 때문에. 메모리 상으로도 좋다. 예를 들어, 100명의 사용자가 모두 Controller에 접근한다면 100개가 모두 new된다. 그 수는 기하급수적으로 커지기 때문에 웬만하면 싱글톤을 쓰는 게 좋다.
public class ThreadSafeLazyInitialization{
// private static으로 먼저 메모리에 올라가면서 호출 못 하도록 막는다.
private static ThreadSafeLazyInitialization instance;
// 생성자를 private으로 만들어 외부 접근을 막아버리자.
private ThreadSafeLazyInitialization(){}
// 다른 곳에서 호출할 수 있도록 public으로 주고 전역에서 호출할 수 있도록 static을 써준다. 이 때 여러 스레드가 동시 접근할 위험이 있다.
public static ThreadSafeLazyInitialization getInstance(){
// null이면 새로 생성하도록.
if(instance == null){
instance = new ThreadSafeLazyInitialization();
}
return instance;
}
}
싱글톤 패턴의 문제점은?
- 싱글톤 인스턴스가 너무 많은 일을 해서 많은 데이터를 공유시킬 경우 다른 클래스의 인스턴스들 간에 결합도가 높다.
- 멀티스레드 환경에서 동기화 처리를 해줘야 한다. 안 하면 인스턴스가 두 개 생기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.
출처
MVC 패턴
MVC 디자인 패턴
- Model - Service 계층, Data 계층
- Service 계층 - 서비스 또는 업무 로직
- 예를 들어, 로그인을 했을 때 비밀번호만 틀리다고 얘기해주는지 아니면 둘 다 틀리다고 얘기하는지…, 비밀번호 안 바꿨다고 말해주는 그런 로직 등.
- login(), getUser(), join() 등 여러 메소드가 DAO에 있는 setUser(id)에 접근한다. 즉, 역할이 나눠져있다.
- Data 계층 - DAO(Data Accesss Object)
- CRUD 기능, SQL을 쓴다,
- DB를 Access하는 코드는 아님
- 이 둘을 나눈 이유는 역할을 나눠서 재사용성을 높이기 위해서이다. 단위테스트하기도 쉽다.
- Service 계층 - 서비스 또는 업무 로직
- View - Presentation 계층, UI계층
- Input/Output을 결정.
- Controller - Controller 계층
- View의 종속성을 떠남
- View + Model의 다리역할
xml, json을 출력하는 view를 만들어 줬었음. saxhandler 쓰고 그럤음.. 회원관리도 arraylist에 넣는 방식으로 함
FrontController – Controller – Service – DAO – DB 순으로 작업한다.
Iterator 패턴이란?
-
Iterator 패턴은 반복이 필요한 자료구조를 모두 동일한 인터페이스를 통해 접근할 수 있습니다. iterator 인스턴스 속에 요소들을 넣은 다음, iterator 인스턴스의 메소드를 이용해 자료구조를 활용하면 됩니다.
-
Iterator 패턴은 값을 1씩 증가시키는 변수 i의 역할을 합니다. 변수 i의 역할을 추상화해서 일반화한 것이 iterator 패턴입니다.
-
Iterator 인터페이스를 이용해서 Iterator 인스턴스를 만들면 Iterator 인스턴스를 이용해 반복하는데 필요한 메소드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.
-
boolean hasNext() - 다음 요소가 더 있다면 true를 리턴합니다. 없다면 false
-
Object next() - 다음 요소를 리턴합니다. 다음 요소가 없다면 예외를 일으킵니다.
-
void remove() - 최근 요소를 삭제합니다.
Iterator 패턴을 쓰는 이유는?
-
자료구조에서 List만 쓴다면 for문으로 index를 하나씩 올리는 방법으로 쓰면 되지만 자료구조에는 List만 있는 것이 아닙니다. Tree, Graph, Map, Trie 등을 쓸 때는 for의 index 접근을 못하는 구조가 많습니다.
-
이런 집합체(List, Tree, Graph Map 등등)를 모두 동일한 인터페이스를 사용하면 얼마나 편할까요? 그래서 생겨난 것이 Iterator 패턴입니다.
-
즉 어떤 컬렉션(ArrayList, HashMap 등등)이 와도 Iterator 패턴을 이용하면 동일한 방식으로 모든 요소에 접근할 수 있습니다.
Iterator 패턴을 어떻게 쓸까?
public static void main(String args[]) {
LinkedList list = new LinkedList();
list.add(1);
list.add(2);
list.add(3);
list.add(4);
Iterator
while(it.hasNext()){
System.out.println(it.next());
}
}
reference